조선귀호여록

조선귀호여록

(이미지를 클릭하면 고해상도로 볼수 있습니다.)
발행년도 : 1878년 가격 : 미정
제작자 : 전화주문 : 010-6767-4182
크기 : 14*21 입금계좌(국민) 123-34258-12-782 박기현
자료설명

1878년(명치 11) 日就社에서 발행한 石幡貞(이시바타 사다)의 '朝鮮歸好餘錄(조선귀호여록)'. 1876년 11월 칙명으로 부산에 부임한 일본 관리 石幡貞(이시바타 사다)가 1878년 초 귀국할 때까지 조선에서의 체험을 바탕으로 편찬한 시문집. 1876년 12월 17일「부산항 조계 조약(釜山港租界條約)」을 맺을 당시, 이시바타가 동래 부사 홍우창(洪祐昌)과 주고 받은 글과 일기, 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. (3-1)은 권1로, 총58쪽. 실로 엮은 형태임. 내용은 예언(例言), 백영제차(白詠題次), 부산백영(釜山百詠)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. (3-2)는 권2-3으로, 총18쪽. 실로 엮은 형태임. 내용은 동래 부도(東萊府圖), 동래 증답(東萊贈答), 홍소운답서(洪小芸答書), 계개(計開), 여현지운(與玄遲雲), 한성재필(漢城載筆)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. (3-3)은 권4-5로, 총20쪽. 반송여운(磐松餘韻), 차운(次韻), 홍소운기시(洪小芸寄時), 기홍소운(寄洪小芸), 화운(和韻), 여안정산(與安珽山), 제자진산수여고승희(題自盡山水與高?喜), 학규제1칙(學規第1則), 학규제2칙(學規第2則), 학규제3칙(學規第3則), 수업제1칙(授業第1則), 수업제2칙(授業第2則), 수업제3칙(授業第3則), 시험제1칙(試驗第1則), 시험제2칙(試驗第2則), 시험제3칙(試驗第3則), 제생의원고시(濟生醫院告示), 종두조례(種痘條例), 여하상방신서(與河上房申書), 황랑대기(晃朗臺記)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.?

뒤로가기